상실은 새로운 기회
1642년 영국 동부지역 울스소프에서 유복자로
태어난 아이가 있었다.
아이가 겨우 말을 배우려고 할 때 어머니는
다른 남자와 재혼했다.
아이는 자라면서 사과나무 아래 혼자 앉아 있을 때가 많았다.
그후 아이는 천신만고 끝에 열망하던 대학에 들어가 학업을 마쳤다.
그의 꿈은 박사. 그가 박사학위 과정에 들어가려고 할 때
흑사병이 창궐,지역의 모든 대학이 문을 닫았다.
‘겨우 여기까지 왔는데 이게 뭐람.’
그는 낙담한 채 고향에 내려가 사과나무 아래 앉았다.
꿈을 잃어버린 절망의 자리였다. 그때 사과 한 개가 ‘툭’ 떨어졌다.
어쩌면 자기 처지와도 같았다.
‘왜 사과는 옆으로 안 떨어지고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걸까?’
이 의문이 인류 과학사의 흐름을 바꿨다.
‘만유인력의 법칙’을 탄생시킨 의문이었다.
그의 이름은 아이작 뉴턴. 세기의 법칙은 낙담의 현장에서 탄생했다.
꿈을 잃었다고 절망할 일이 아니다.
-- 상실은 새로운 기회다. --
|
댓글 0